국내 생선 이름의 비밀
한국어·일본어·중국어명 비교와 바른 국내명 총정리
생선 이름, 문화와 역사의 거울입니다.
한·일·중 비교와 실제 현장 명칭·표기를 분석, 국내 50종을 표 한눈에!
PRO TIP: 같은 생선도 지역·언어·유통마다 이름이 수십 개! 혼동 방지를 위해 꼭 표준 공식명을 알고, 일본/중국식 표기와 혼동되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.
목차
- 이름의 과학, 왜 혼동이 많을까?
- 50대 대표 생선별 한·일·중어명 비교표
- 대표적 혼동·별칭·상식 오해 분석
- 정확한 국내 공식명 고르는 법
- 실전 FAQ·문화 이야기
- 공식 정보/표기 바로가기
- 핵심 해시태그
1. 이름의 과학, 왜 혼동이 많을까?
- 유통/요리/방언: 같은 생선도 지역, 어린·성체·가공 형태마다 이름이 여러 개(예: 명태-동태-북어-황태/고등어/가자미/광어 등)
- 한자·일본어 영향: 한자, 일본어, 중국어식 음차까지 혼용 및 직·간접표기 병행
- 학명/시장명/요리명 혼재: 상인·요리사·소비자·연령별 인식 달라진다
2. 50대 대표 생선별 한·일·중어명 비교표
국내 공식명 | 한국어 별칭/방언 |
일본어명 | 중국어명 | 주요 특징 |
---|---|---|---|---|
명태 | 북어, 동태, 황태 | メンタイ(明太) | 明太鱼 | 가공·계절별 명칭 수십 개 |
고등어 | 참고등어, 망치 | サバ(鯖) | 鲭鱼 | 국민생선, 푸른 등 |
광어 | 넙치 | ヒラメ(平目) | 比目鱼 | 국내 '광어'가 日 히라메 |
도다리 | 참도다리 | カレイ(鰈) | 鲽鱼 | 카레·가자미·광어 혼동 |
방어 | 희어 | ブリ(鰤) | 鰤鱼 | 출하시기별 별칭 다수 |
참치 | 참다랑어 | マグロ(鮪) | 金枪鱼 | 일본어 '마구로' 유명 |
연어 | 삼연어(국내하천) | サーモン/サケ | 三文鱼 | 남획·양식 의미 혼용 |
가자미 | 서대, 밀치, 쥐치 | カレイ(鰈) | 鲽鱼 | 광어와의 구별 필수 |
우럭 | 조피볼락 | クロソイ(黒曽以) | 黑昌鱼/黑鲈 | 쏨뱅이별칭, 볼락(메바루)과 혼동 |
볼락 | - | メバル(眼張) | 喜鱼 | 우럭과 반대 구분 |
대구 | 진대구 | タラ(鱈) | 鳕鱼 | 북방 대표, 탕용 |
삼치 | 삼치, 청어 | サワラ(鰆) | 马鲛鱼 | 구이, 회 모두 인기 |
멸치 | 잔멸, 육젓, 대멸 | イワシ(鰯) | 凤尾鱼 | 젓갈·국물의 핵심 |
꽁치 | - | サンマ(秋刀魚) | 秋刀鱼 | 가을·고등어류 대표 |
전갱이 | - | アジ(鯵) | 竹荚鱼 | 횟감 인기 |
갈치 | 은갈치 | タチウオ(太刀魚) | 带鱼 | 국내 은색 칼 형태 |
붕장어 | 아나고, 바다장어 | アナゴ(穴子) | 星鳗 | 초밥, 구이 인기 |
민어 | - | ニベ(鮸) | 鲂鱼/黄姑鱼 | 여름 고급생선 |
병어 | - | マナガツオ(真名鰹) | 鲳鱼 | 조림 및 매운탕 |
감성돔 | 감동, 돔 | クロダイ | 黑鲷 | 바다낚시 인기 |
참돔 | 붉돔 | マダイ(真鯛) | 真鲷 | 축제/회 도시락 대표 |
농어 | 논갱이 | スズキ(鱸) | 鲈鱼 | 민물·바다 혼용 |
숭어 | 숭이, 모치 | ボラ(鯔) | 鲻鱼 | 하구 연안 주 출몰 |
복어 | - | フグ(河豚) | 河豚鱼 | 맹독 사례 유명 |
은어 | 은어류 | アユ | 香鱼 | 하천·낚시 인기 |
줄돔 | 노랑줄돔 | シマアジ | 条石鲷 | 회/구이용 |
쥐치 | - | カワハギ | 革胡鱼 | 식감특이, 별미 |
조기 | 참조기, 부세, 흑조기 | キュウリ(九制魚) | 黄花鱼 | 굴비·식품 등 활용 |
참조기 | 조기 | シログチ | 大黄鱼 | 일본 표기는 엄밀 구분 |
가물치 | 노가리(새끼명태) | ライギョ | 乌鳢 | 민물어·약용 |
노가리 | 명태 새끼 | シシャモ | 柳叶鱼 | 건어포, 술안주 |
송어 | - | マス | 鳟鱼 | 민물 회, 양식 |
장어 | 뱀장어 | ウナギ | 鳗鱼 | 보양식·구이 |
피문어 | - | タコ | 章鱼 | 낚시/요리 인기 |
오징어 | - | イカ | 鱿鱼 | 건조·회 특성 |
홍합 | - | ムール貝 | 贻贝 | 국, 밥, 조개류 인기 |
새우 | 대하, 흰다리새우 | エビ | 虾 | 양식, 수출·요리 필수 |
꽃게 | - | ワタリガニ | 梭子蟹 | 찜, 젓갈, 조림 |
킹크랩 | - | タラバガニ | 帝王蟹 | 수입, 고급 어종 |
개불 | - | ユムシ | 海肠 | 회/구이/밑밥 |
문어 | - | マダコ | 章鱼 | 회, 숙회/스시 인기 |
해삼 | - | ナマコ | 海参 | 산채/젓갈 등 |
가재 | 민물가재 | ザリガニ | 小龙虾 | 민물/서양 요리 |
미꾸라지 | - | ドジョウ | 泥鳅 | 탕/전/회/강장식 |
뱅어 | 빙어 | シラウオ | 银鱼 | 젓갈/전/튀김 |
개장어 | 붕장어 | アナゴ | 星鳗/体长鳗 | 초밥, 바다장어류 |
숭어 | 숭이 | ボラ | 鲻鱼 | 강/바다 양쪽 출현 |
노가리 | 명태 새끼 | シシャモ | 柳叶鱼 | 포, 겨울 별미 |
쭈꾸미 | - | イイダコ | 小章鱼 | 볶음/샤브/국내양식 |
갈매기살 | - | - | - | 돼지고기 부위. (아님에 유의) |
홍삼치 | 참치속 | カツオ(鰹) | 鲣鱼 | 가다랑어류, 가쓰오부시 원료 |
숭어 | 숭어, 모치 | ボラ | 鲻鱼 | 강·바다 혼재 |
청어 | - | ニシン | 青鱼 | 서해 겨울 어획 증가 |
다금바리 | 제주산 | クエ | 多宝鱼 | 최고급 바다횟감 |
3. 대표적 혼동·별칭·상식 오해 분석
- 광어/도다리: 한국 '광어'=일본 '히라메', 도다리는 '카레(카레이)'로 구분, 방언/요식업 혼동 잦음
- 명태류: 계절/가공/어획/어린 개체 모두 별도 이름(동태·북어·노가리 등)
- 우럭/볼락: 일본어, 학명, 생김새 기준 서로 다르게 부름
4. 정확한 국내 공식명 고르는 법
- 정부/공공기관(국립수산과학원·국립국어원) 발표 공식명칭을 기준!
- 수입산·외국 표기는 참고만. 국내 유통·소비에는 한국 표준명 사용 권고
- 시장·요리·문화별 방언․별칭 혼용시, 본 명칭 병행 표시 바람직
5. 실전 FAQ·문화 이야기
Q1. 광어와 도다리 일본어 표기가 왜 다른가요?
일본은 '히라메/카레이'를 구별/한국은 혼용, 음식점·시장표기 차이 많음.
Q2. 명태 이름이 왜 이렇게 많은가요?
계절, 가공, 잡히는 크기·시기 모두 별칭, 방언·요리명 등 문화와 역사가 누적.
Q3. 한자/일본어명만 보고 수입산 구별 되나요?
절대 불가. 동일 한자라도 어종·자국 식문화·식별 기준까지 완전히 다릅니다.
공식 정보/표기 바로가기
'바다의 미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선상 문어 낚시 트렌드, 신형 루어부터 첨단 장비까지 최신 기법 소개 (0) | 2025.08.05 |
---|---|
사리 물때란? 낚시·양식·해운 모두를 위한 조석 변화 활용 가이드 (0) | 2025.08.05 |
선장·기관장·통신장 어선 안전조업교육 완벽 안내|법정의무·최신교육·실무체크까지 총정리 (0) | 2025.08.05 |
갯농어 남해 출현, 기후변화와 주 어종 변화 트렌드 완전 분석 (0) | 2025.07.24 |
항해 선박 레이더 기초 완벽 해설: 초보자를 위한 필수 항해 장비 가이드 (0) | 2025.07.22 |
전 세계 낚시 봉돌 호수 총정리! 일본·미국·한국 기준 완벽 비교 (0) | 2025.05.27 |
지역별 금어기와 어종별 규정 한눈에 보기 – 낚시인 필독 가이드 (0) | 2025.05.26 |
참돔낚시 잘 되는 날은 따로 있다! 서해·남해 물때별 조황 패턴 공개 (0) | 2025.05.26 |